EM세제, 냄새잡는 자연의 힘! 세탁전문가가 말하는 유용미생물

이미지
왜 지금 EM이 필요할까? 유용한 미생물로 세탁까지 똑똑하게!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세탁연구소 한별입니다. 날이 점점 더워지면, 사람들은 옷 냄새, 땀 냄새에 민감해집니다. 특히 여름철은 세탁을 해도 금방 다시 냄새가 나기 쉬운 계절이죠. 이럴 때 "EM"이라는 말, 들어본 적 있으시죠? 검색에 EM을 검색하니 세탁전문가가 쓴 글들이 거의 없더군요. 이유는 모르겠지만 세탁 현장을 운영하면서 많은 세탁인들을  만나 보았고 업체를 수도 없이 방문해 보았지만  실질적으로 EM을 꾸준히 사용하는 곳을 못 보았습니다. 심지어는 EM전문 세탁이라는 간판을 걸고도 EM을 모르더군요. 아마도 EM관련 POP나 전단지, 간판 인테리어를 본격적으로 한 건 저희 업체가 처음일 겁니다. 그 디자인들이 이쁘고 색달라 보여 모방한 업체들도 꽤 있었던 걸로 아는데요. 모방을 했으면 적어도 EM을 알고는 있어야 되는데, 안타깝더군요. 일반 세탁 업소가 프랜차이즈 세탁 중계점(체인점)에 밀려  영업이 어려워 사라지는 것도 업체의 색깔이 없어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할 말은 많지만 다른 지면을 통해 말씀 드리기로 하고,,,, EM은 단순한 유행은 아니죠. "냄새 제거"와 세정력을 동시에 잡고, 자연 친화적이면서도 실생활에 강력하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미생물의 조합입니다. 오늘은 이 "EM"이 대체 뭔지, 그리고 우리가 세탁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냄새와의 전쟁을 이기는 방법으로 정리를 해 보겠습니다.    ☑  EM이란? ㅡ Effective Microorganisms의 약자 EM은 영문 표시 그대로 "유용한 미생물들"을 조합해 만든  자연발효 시스템이라 설명하면 될 것 같습니다. 구성 미생물에는 주로 아래가 포함됩니다.      ☑ 유산균 (젖산 발효 / 산성균 억제)      ☑ 효모균 (발효 / 냄새 중화)     ...

세탁기 앞에서 세제량이 궁금할 때 가이드


세탁기에 세제를 얼마나 넣어야 할까?

세탁기에 세제를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는 몇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양을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최적의 세탁 효과를 얻고 세탁기와 의류를 보호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드릴 수 있습니다. 


드럼 세탁기 용량별 적정 세제 투입량 안내표, 5kg 이하부터 21kg 초대형까지 ml 단위 비교



1, 세제 종류별 권장 사용량 확인: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사용하는 세제의 종류와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사용량입니다. 
세탁 세제는 크게 액체, 가루, 캡슐형 등으로 나뉘며, 각 제품마다 농도와 사용법이 다릅니다. 

➧ 액체 세제 및 가루 세제: 대부분의 세제 용기 뒷면이나 측면에 세탁물의 양 (kg), 오염도, 물의 경도에 따른 권장 사용량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를 꼼꼼히 확인하고 계량컵이나 세제 투입구를 이용하여 정량을 넣어주세요. 

캡슐형 세제: 캡슐형 세제는 1회 사용량이 정해져 있으므로, 세탁물의 양에 따라 캡슐 개수를 조절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7kg 이하의 세탁물에는 1개, 그 이상의 세탁물에는 2개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2. 세탁기 종류별 세제 투입 방식 이해: 

세제를 투입하는 방식이 세탁기의 종류에 따라 약간씩 다릅니다. 

➧ 일반 세탁기: 세탁조에 직접 세제를 넣거나, 세제 투입구가 있는 경우 해당 투입구에 넣어줍니다. 

➧ 드럼 세탁기: 보통 세제 투입함이 별도로 있으며, 액체 세제와 가루 세제를 넣는 칸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섬유유연제 투입구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3. 세탁물 양과 오염도 고려: 

세탁물의 양과 오염 정도에 따라 세제 사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 세탁물 양: 세탁물의 양이 적다면 권장 사용량보다 약간 줄여서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반대로 세탁물이 세탁조의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많다면 권장량보다 조금 더 넣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세탁물의 양은 제 경험으로 드럼의 60%가 적당합니다.
➧ 오염도: 심하게 오염된 세탁물은 일반적인 경우보다 약간 더 많은 세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사용은 세제 찌꺼기를 남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4. 물의 경도 확인 (선택 사항): 

수돗물의 경도는 세제의 세척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물이 센 지역(경수)에서는 세제가 잘 풀리지 않고 세척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권장량보다 약간 더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권장량을 따르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5. 세제 과다 사용의 문제점: 

➧ 세제 찌꺼기 잔류 :  의류에 세제 찌꺼기가 남아 피부 자극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옷감이 뻣뻣해지거나 색이 바랠 수도 있습니다. 

➧ 헹굼 횟수 증가 : 세제가 제대로 헹궈지지 않아 헹굼 횟수를 늘려야 하므로 물과 전기 낭비의 원인이 됩니다. 
➧ 세탁기 고장 원인 : 필요 이상으로 많은 거품은 세탁기의 부품에 무리를 주고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세탁에 방해가 됩니다. 거품이 물고 있던 오염이 섬유에 재부착 되니깐요. 


✅ 표준 세제 사용량 팁 :

📌 세탁기 5kg  ㅡ 약 30ml 

📌 세탁기 9kg  ㅡ 약 40ml

📌 세탁기 16kg ㅡ 약 60ml

📌 세탁기 19kg 이상 ㅡ 약 70ml

(계량컵이 없을 때 : 소주컵 1컵 기준 50ml 라는걸 참고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결론: 

세탁기에 세제를 넣을 때는 반드시 사용하고 있는 세제의 사용 설명서를 확인하고, 세탁물의 양과 오염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세제 제조사의 권장량을 기준으로 하되, 세탁 결과나 옷감의 상태를 보면서 조금씩 조절해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EM세제, 냄새잡는 자연의 힘! 세탁전문가가 말하는 유용미생물

산소계 vs 염소계 표백제, 뭐가 다를까?